건설 (3) 썸네일형 리스트형 일괄성립신고 및 보험료 신고서 작성 방법 건설에 대하여 글을 시작한 김에 전반적인 노무 신고에 대하여 파트별로 글을 쭉 써보고자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사업장 생애 최초!! 현장이 발생하는 경우 해야하는 일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큰 제목부터 살펴봅시다. 1. 일괄성립 (6번 관리번호 생성) 2. 개시신고 3. 개산보험료 세 가지의 절차를 거쳐줘야 합니다. 일괄성립 (6번 관리번호 생성) * '원도급' 혹은 '하수급인사업주인정승인' 공사 계약을 체결한 경우에만 가능 고용 산재보험 토탈서비스 접속 total.kcomwel.or.kr/ 민원/접수신고 → 보험가입신고 → 일괄적용 보험관계성립신고/승인신청(10103) 기본적으로 대표자 / 본사 / 현장의 정보를 적어줍니다. 필요서류로는 ①사업자등록증, ②③도급계약서 그리고 ③건설 면허가 있는 경우.. 건설업 관리번호 끝 자리, 0과 6의 차이 공단에 전화하면 가장 많이 받는 대답이 "관리번호 불러주시겠어요?"입니다. 어떤 사업장인지 파악하여 안내하기 위해서이겠죠. 이와 같이 회사의 관리번호는 사람으로 치면 주민등록증 같은 존재입니다. 이러한 관리번호는 사업의 형태에 따라서 조금씩 다르게 부여받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그 내용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건설업의 고용·산재에 있어서는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본사, 현장, 개시번호, 하수급인관리번호 하나하나 설명드리도록하겠습니다. 끝 번호 0번! 6번? 대부분의 사업장의 본사는 국세청 사업자등록번호+0입니다. 여기에 현장이 있는 건설업 같은 경우에는 사업자등록번호+6번으로 끝나는 일괄이라는 현장 통합 번호를 만들어서 부여합니다. 이곳에는 현장 개시 및 보험료 신고용으로 사.. 원도급 하도급 그리고 발주처의 관계 이번 글은 처음 건설업에 입문하는 신입이라면 꼭 알아야 하는 건설업에서의 계약 관계와 관련된 전반적인 내용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실무에 부딪히기 전에 건설 계약에 대한 전반적인 흐름을 알고 있다면 단순히 주어진 업무만을 하는 것이 아닌 무엇 때문에 이러한 업무가 필요하고, 해야하는지 파악하는데 훨씬 더 수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건설업과 아직 대면대면한 사이라면 한 번 읽어보시면 많은 도움이 되실 겁니다. 원도? 하도? 건설 사업장을 맡게 되면, 먼저 발주처 / 원도급 / 하도급이란 용어를 많이 접하게 되실 겁니다. ■ 발주처(발주자)란, 쉽게 말해 건물을 지어달라고 요청하는 기관(사람) 보통 관공서를 말합니다. 건설면허가 없죠 ! ■ 원도급, 이런 발주처에게 도급(공사)를 받은 업체로 밑에 하도가.. 이전 1 다음